④ 빵은 황제와 밀교들의 신상

가톨릭의 빵에는 IHS 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바커스를 뜻하는 이름입니다.
그런데도 가톨릭은 I 는 Iesus, H 는 Hominum, S 는 Salvator 의 이니셜이라며
그 빵에 새긴 글자는 "모든 인류를 구원하신 예수님"을 의미하는 글자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가톨릭이 그런 변명으로 둘러댄다해도
그런 변명 자체가 자신들을 신약시대의 적그리스도체제라고 주장하는 것에 다름아닙니다.
왜냐하면 신약시대 적그리스도 체제가 빵에다가 그런 이름을 붙이는 것 역시 충분히 예견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구약시대에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형상으로 만들어 섬기는 우상숭배를 행했습니다.
그때 그들은 그 형상에게 "너희를 인도하여 애굽에서 나오게 하신 하나님"이라는 명칭을 부여했습니다.
그리고 그 형상을 섬겼습니다.

느 9:18
또 저희가 송아지를 부어 만들고 이르기를
이는 곧 너희를 인도하여 애굽에서 나오게 하신 하나님이라 하여 크게 설만하게 하였사오나

이제 신계약으로 모든 인류가 구원받는 신약시대가 되었습니다.
구약시대와 달리 하나님께서는 애굽에서만 구하신 것이 아니고, 온 세상에서 믿는자들을 구하신 것입니다.

렘 16:14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그러나 보라 날이 이르리니
다시는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의 사심으로 맹세하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자손을 북방 땅과 그 모든 쫓겨났던 나라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의 사심으로 맹세하리라

오늘날도 역시 불순종한 자들은 구약시대처럼 하나님을 형상화하여 우상숭배할 것은 자명한 것입니다.
단, 그 형상에게 붙이는 이름은 달라질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구계약처럼 애굽에서 종살이 하던 자들만 구하신 것이 아니라 신계약으로 모든 인류를 구하셨으므로
불순종한 자들은 그 형상의 이름을 "애굽에서 인도하신 하나님"으로 이라고 일컫지 않고
"모든 나라에서 인도하여 내신 하나님"이라고 일컬을 것입니다.

과연 가톨릭은 새로운 하나님의 형상인 빵을 만들어 놓고
그 빵을 애굽에서 구원하신 하나님이 아니라 모든 나라의 모든 인류를 구원하신 하나님이란 뜻으로
"인류의 구주"라고 부르고 그것을 숭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 빵에 새긴 글자가 바커스의 SERNAME 을 의미하려 한 것이 아니고,
인류의 구주 라는 명칭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더라도
그 역시 스스로를 적그리스도체제임을 입증하고 있는 것입니다.

각설하고, 엄연히 이교 로마시절부터 저 IHS 라는 문자는 로마의 신인 바커스를 의미하는 문자였습니다.
또 이교 로마에서 IHS 는 IANUS 즉, 로마의 이교도들이 섬겨온 신인 야누스를 의미합니다.
야누스는 양면의 얼굴을 가진 자인데, 양면의 얼굴이 모두 남자일때도 있지만,
남신과 여신, 곧 태양신과 달의 신으로써 남자와 여자의 얼굴을 같이 지니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고대 종교에서 남신과 여신, 태양신과 달의 신은 항상 같이 등장하며
그리스에서는 아폴로와 아르테미스로써, 둘이 쌍둥이로 여겨졌습니다.



이처럼 남신과 여신이 같이 등장하는데,
이스라엘의 태양신인 바알도 여신 아스다롯과 같이 등장할뿐 아니라,
아예 바알 스스로도 남신과 여신의 이중의 성을 가진 신입니다.

롬11:4
저에게 하신 대답이 무엇이뇨
내가 나를 위하여 바알에게 무릎을 꿇지 아니한 사람 칠천을 남겨 두었다 하셨으니

위에서 "바알에게" 라는 단어의 원어가 "테 바알" 인데, 테는 여성정관사입니다.
이처럼 고대기록에 바알이 여신으로 불려지는 경우가 많음에서 알 수 있듯이
이스라엘의 바알은 남녀 혼성신인 것입니다.

로마의 야누스가 바로 이런 성격을 갖고 있는데,
야누스의 두 얼굴이 각각 IANUS 와 IANA 로써 표현되며
이때 야누스는 그리스의 제우스를 의미하며, 야나는 다이아나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 그림의 윗부분에 IHS 라고 써져있는 것에서 보시다시피,
야누스와 야나가 합쳐진 의미로써의 야누스를 표현하는데 쓰이던 이름이 바로 IHS 입니다.

또 빵의 IHS 를 단어들의 이니셜로 보면 가톨릭의 주장처럼 Iesus Hominum Salvator 의 이니셜이 아니라,
바티칸 광장의 가운데 갖다 놓은 태양기둥이 오시리스의 남근석인것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로는 이집트의 오시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니셜입니다.



즉, IHS 는 오시리스 신화의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의 이니셜인데,
I 는 오시리스의 아내인 ISIS 의 이니셜이고 H 는 오시리스의 아들인 HORUS 의 이니셜입니다.
S 는 오시리스의 형제인 SETH 또는 오시리스의 아버지인 SEB 입니다.

오시리스 신화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오시리스는 셉의 아들로써, 이시스와 부부였는데, 오시리스의 형제인 셑이 오시리스를 죽입니다.
그 후 이시스가 오시리스의 시체를 찾았지만 오시리스의 남근은 못찾습니다.
그래서 이시스가 오시리스의 남근석을 세웁니다.
이집트에서 오시리스의 남근석인 오벨리스크를 세우는 유래가 여기서 나온 것입니다.

오시리스는 죽어서 명계의 신이 되고 이시스는 지상에 남아 오시리스의 화신인 태양신 호러스를 낳습니다.
이 호러스가 오시리스의 원수인 셑과 전쟁을 벌이게 되고 결국 호러스가 승리합니다.
이 오시리스 신화는 이집트 종교의 대세가 되고 지중해 전역에 널리 퍼집니다.
그래서 가톨릭 역시 이 오시리스 신화의 등장인물들의 이니셜을 빵에 새겨 이교도들에게 어필하는 것입니다.

이집트의 모든 파라오들은 자신의 통치권을 공고히 하기위해 자신을 호러스라고 주장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교황도 이집트의 파라오들처럼 자신을 호러스라고 주장하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빵의 IHS 라는 세개의 글자중에서 호러스를 의미하는 H 가 제일 큰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교도들이 바커스와 야누스와 호러스로 착각하게 만들려고 빵에 써 놓은 글자가 IHS 인 것입니다.
실제 가톨릭이 바커스와 야누스와 호러스를 숭배하는 종교인 것처럼 보이려고
얼마나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바커스는 곧 바벨론의 담무스이자 그리스의 디오니수스이며 싹의 신입니다.
싹의 신은 새로이 생명이 태어난다는 의미에서 태양이 졌다가 다시 뜨는 것에 비견됩니다.
또한 싹은 생명의 상징이므로 생명을 움트게 한다는 의미에서 태양에 비견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담무스도 죽었다가 살아났고 디오니수스도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태양신인 것입니다.



위의 그림이 담무스, 곧 그리스의 디오니수스이며 로마에서 바커스로 일컬어지는데,
바커스라는 단어의 뜻 자체가 싹이라는 뜻입니다.
위에 보시면 담무스 머리띠에 고대의 태양의 상징인 십자가가 그려져 있습니다.
담무스가 태양신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톨릭은 담무스의 표식인 십자가와 로마판 담무스인 바커스의 이름을 IHS 로 빵에 새겨 놓은 것입니다.
또한 다시 위의 그림을 보시면 담무스가 손에 나뭇가지를 들고 있는데
나무가 층층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교황의 십자가를 삼층으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이처럼 교황의 십자가, 곧 교황 크로스는
담무스가 들고 있는 나무에서 온 것입니다.



담무스가 들고 있는 층층이 된 나무같은 십자가를 들고 있음으로써, 담무스의 화신을 자처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교황이 쓰는 삼중관도 마찬가지인데, 담무스가 든 나무처럼 층층이 되어있습니다.



삼중관은 다곤,바알,호러스의 관에서 온 것인데, 결국 교황 크로스처럼 층층이 된 것입니다.
(편집자 주: 삼중관 이야기는 기회가 되면 나중에 더 자세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삼중관이 바커스의 의미이며 싹의 의미라는 것은 위의 삼중관에 온통 싹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도 입증됩니다.
저 삼중관을 쓰는 교황이 싹의 신, 곧 바커스처럼 보이려는 것입니다.



또 위 그림을 보시면 담무스의 머리띠가 양 어깨로 늘어져 있습니다.
저런 담무스의 패션 스타일까지 교황이 흉내내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교황의 삼중관은 항상 양쪽으로 머리띠를 흘러내립니다.
교황뿐 아니라, 주교들도 주교관에 양쪽으로 머리띠를 흘러 내립니다.



게다가 위의 오른쪽 그림처럼 아예 담무스의 패션과 완전히 일치하게
삼중관의 머리띠 끝이 세세히 갈라지는 부분의 바로 앞에 십자가를 새겨놓습니다.
기를 쓰고 싹의 신을 자처하고 있는 것입니다.

싹의 신은 태양신이므로 로마의 바커스 제사장들은 속알머리를 싹 미는데, 태양모양으로 보이게 깎습니다.
이런 풍조를 구약성경은 엄히 금하고 있습니다.

레 19:27
머리 가를 둥글게 깎지 말며

레 21:5
제사장들은 머리털을 깎아 대머리 같게 하지 말며

이런 행태를 금하는 이유는 이것이 태양신 바알제사장들의 행태였으므로
바알을 따르지 말것을 명령한 것입니다.
그러나 가톨릭은 바커스 종교로 보이려고 태양신 바커스의 제사장을 흉내내어 역사내내 체발을 해왔습니다.
아래 같은 가톨릭 성직자의 머리 스타일은 가톨릭의 역사에서 내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가톨릭이 야누스 숭배교처럼 보이려고 행하는 행태를 설명하겠습니다.
가톨릭에서 교황은 열쇠를 들고 있는 자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가톨릭에서는 열쇠를 들고 있는 모습이 강조되는데,
교황이 베드로의 후계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핑계를 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열쇠를 들고 있는 야누스를 본딴 것입니다.
아래의 그림이 야누스를 그린 그림인데, 보시면 열쇠를 들고 있습니다.



야누스가 돌쩌귀의 신, 곧 문을 여닫는 신이기 때문에 열쇠를 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톨릭의 교황도 야누스처럼 열쇠를 든 모습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야누스가 달모양의 모자를 쓰고 작대기를 들고 있는데,
교황이 저런 모자를 쓰고 저런 작대기를 든 모습을 보십시오.



야누스와 교황을 비교해 보시면, 교황이 명백히 야누스를 흉내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야누스 그림에 닭이 나왔듯이 야누스의 성수, 곧 야누스를 상징하는 동물은 닭입니다.
왜냐하면 야누스가 문을 여는 자이므로 하루를 여는 닭에 비견되는 것입니다.



이 닭 또한 역사내내 가톨릭의 상징이었는데,
가톨릭의 핑계는 베드로가 닭이 울때 예수님을 부정했는데,
교황은 베드로의 후계이므로 닭을 걸어 놓는 것이 전통이 되어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야누스의 그림에서 보시다시피 가톨릭이 종탑에 야누스의 닭을 달아놓은 것은
사람들에게 야누스 숭배교로 보이려한 목적에서 비롯됐던 것입니다.

교황뿐 아니라 추기경들도 야누스 숭배교의 제사장을 흉내내고 있습니다.
야누스가 문을 여닫는 돌쩌귀(CARDO)의 신이므로 추기경의 명칭도 이를 본따서 CARDINAL 입니다.
또한 야누스 숭배교의 제사장들은 붉은 옷을 입는 것이 특징이었는데, 추기경들도 그렇습니다.
아래의 가톨릭 추기경들의 사진을 보십시오.



보시다시피 가톨릭 추기경들이 저렇듯 붉은 옷을 입어온 것입니다.
이렇듯 철저히 야누스 숭배교의 이미지를 연출함으로써, 이교도들에게 야누스 숭배교로 어필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가톨릭이 호러스 숭배교로 보이기위해 애쓰고 있는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교황은 일종의 왕이므로 왕가의 문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이 교황의 문장인데, 이 교황의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왼쪽의 문장이 종교개혁 당시 종교개혁에 반대하는 가톨릭 교리서의 표지에 그려진 교황 문장이고
위의 오른쪽의 문장이 바티칸이 주조한 동전에 그려진 최근의 교황이었던 요한 바오로 2세의 문장입니다.
위의 교황문장들을 새, 특히 태양신을 본딴 독수리 문장과 비교해 보면
교황문장이 명백히 새를 의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림들의 가운데의 독수리 문장과 양쪽의 교황문장들을 비교해 보십시오.
즉, 교황 문장들은 예나 지금이나 일종의 새의 형태입니다.
위의 교황 문장들을 보시면 새의 머리부분에 해당하는 곳에 삼중관이 있고,
마치 새의 날개와 다리처럼 X 자를 그리는 열쇠가 있고
열쇠고리는 일종의 발인데, 구멍이 나서 비어있습니다.

그런데 이 교황의 문장이 바로 호러스에게서 온 것입니다.
이집트의 태양신 호러스가 바로 새이기 때문입니다.



보시다시피, 호러스를 그린 이집트 벽화가 저렇듯 태양을 머리에 두고 날개와 다리는 X 자를 그리고
양 발에는 구멍이 나있어서 때로는 그 발로 앵크 크로스를 움켜쥐고 있는 모습으로 연출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집트의 태양신 라나, 태양신 호러스나 마찬가지입니다.
아래에서 교황의 문장과 비교해 보십시오.



보시다시피 위의 가운데 교황의 문장이 양쪽 그림의 호러스에서 왔음이 명백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톨릭의 교황은 이집트의 왕들처럼 호러스의 승계자임을 주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면에서 보면 이집트인들에게 교황은 이집트의 왕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실제 교황의 행차는 이집트의 왕의 행차와 똑같습니다.



위의 왼쪽 행렬이 교황의 행렬이고 오른쪽 행렬이 이집트 왕의 행렬입니다.
보시다시피 운반되는 행태나, 사람들이 들고 있는 큰 부채(파벨룸)의 형태나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톨릭 교황의 문장은 의도적으로 이집트 왕의 화신인 호러스를 본딴 형태로 그린 것입니다.
빵의 H 역시 이집트 왕들의 화신인 호러스라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면 H 위에 십자가를 올려놓은 것은 무엇을 본딴 것일까요?
그것은 제단 위에 태양상을 올려놓고 숭배하는 태양숭배의 관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빵의 H 는 제단이고 그 위의 십자가는 태양상인 것입니다.
이런 태양종교의 행태가 구약성경의 우상숭배타파를 행하는 부분에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대하 34:4
무리가 왕의 앞에서 바알들의 단을 훼파하였으며
왕이 또 그 단위에 높이 달린 태양상들을 찍고

위 구절에서 보시다시피 "바알의 단", 곧 "바알의 제단" 위에 태양상을 올려 놓는 것입니다.
바벨론의 태양신인 쉐메쉬를 제단 위에 올려놓는 행태를 보시면 잘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위 그림이 바벨론의 벽화인데, 보시면 태양신 쉐메쉬를 제단위에 올려 놓았습니다.
빵의 H 는 바로 저 쉐메쉬를 올려놓은 제단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 두 그림을 보시다시피 태양신 쉐메쉬를 올려놓은 제단과 빵의 H 가 일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제단위의 쉐메쉬와 H 위의 십자가는 같은 것입니다. 둘다 태양신입니다.



그러므로, 로마제국의 온갖 태양신들을 집약시켜 놓은 것이 빵의 글자이며,
빵 자체도 태양처럼 둥글고 화염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또한 이 빵을 태양신 아폴로 형상을 본딴 성광에 끼우고 절하며,
여신에게 제사하듯 피없는 제사의 제물로 바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옛적의 이교도 로마의 종교, 곧 온갖 잡신을 섬기던 로마의 밀교들은 사라진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오늘날도 여전히 가톨릭이라는 이름을 가진 종교로 계승되어서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로마제국의 밀교들의 대표였던 로마황제, 곧 폰티펙스 막시무스 역시 사라진 것이 아닙니다.
그 폰티펙스 막시무스라는 직책을 가진 로마황제는 오늘날 교황으로써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위의 왼쪽 동전이 이교도 로마제국의 초대 황제인 옥타비아누스, 곧 가이사 아구스도의 그림이고
위의 오른쪽 동전이 가장 최근의 교황이었던 요한 바오로 2세의 동전입니다
보시다시피 왼쪽 동전의 밀교들의 대승원장인 폰티펙스 막시무스를 의미하는 PONT MAX 가
여전히 오른쪽 동전의 PONT MAX 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로마황제는 사라진 것이 아니라, 죽어 부활하여 다른 형태로 활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가 바로 교황입니다.

가톨릭이 생기를 주어 살아있는 예수님으로 만들었다는 그 빵은 바커스,야누스,호러스의 신상인데
교황이 바로 바커스,야누스,호러스를 자처하고 있으므로 그 빵은 바로 교황의 형상인 것입니다.
가톨릭 교리로 따져보더라도 교황을 지상의 그리스도, 곧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칭하고 있으니,
그리스도의 형상이라고 만든 그 빵은 그리스도의 형상인 동시에 교황의 형상이 되는 것입니다.
이교 로마제국의 사람들이 황제의 형상에 절을 했듯이 교황의 형상에 절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빵에 절하기를 거부한 수많은 사람들이 학살되었던 것입니다.

계 13:15
저가 권세를 받아 그 짐승의 우상에게 생기를 주어 그 짐승의 우상으로 말하게 하고
또 짐승의 우상에게 경배하지 아니하는 자는 몇이든지 다 죽이게 하더라

그런데도 사람들은 교황이 바로 부활한 적그리스도라는 것을 알아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부활하셨을 때도 사람들은 알아보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떡을 내밀어 성찬을 행하실때, 사람들은 죽었던 그 분이 살아나셨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눅 24:29
이에 저희와 함께 유하러 들어 가시니라
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 보더니

마찬가지로 로마황제가 죽어서 부활하였으나 사람들은 알아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교황이 성찬에서 떡을 내밀때, 사람들은 로마황제가 살아나서 여전히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형상에게 배례하라는 우상숭배를 시킬 뿐 아니라,
그 떡은 로마황제가 대표로 있던 로마 밀교들의 신상이기 때문입니다.
로마황제는 부활한 것입니다.

계 13:3
그의 머리 하나가 상하여 죽게 된 것 같더니
그 죽게 되었던 상처가 나으매 온 땅이 이상히 여겨 짐승을 따르고
용이 짐승에게 권세를 주므로 용에게 경배하며 짐승에게 경배하여 가로되
누가 이 짐승과 같으뇨 누가 능히 이로 더불어 싸우리요 하더라
또 짐승이 큰 말과 참람된 말 하는 입을 받고 또 마흔 두달 일할 권세를 받으니라
짐승이 입을 벌려 하나님을 향하여 훼방하되 그의 이름과 그의 장막 곧 하늘에 거하는 자들을 훼방하더라
또 권세를 받아 성도들과 싸워 이기게 되고 각 족속과 백성과 방언과 나라를 다스리는 권세를 받으니
죽임을 당한 어린 양의 생명책에 창세 이후로 녹명되지 못하고 이 땅에 사는 자들은 다 짐승에게 경배하리라
누구든지 귀가 있거든 들을지어다

④ 빵은 황제와 밀교들의 신상

왼편에 666blog.com 사이트의 메뉴가 안보이시면 여기를 누르십시오